건설안전기술사 용어정리 3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유해위험방지계획서 1. 작성대상 지상높이 31m 이상인 건축물, 인공구조물 연면적 3만 ㎡ 이상 건축물 연면적 5천 ㎡ 이상 문화, 집회, 판매, 운수, 종교, 관광숙박시설, 종합병원, 지하도상가, 냉동 · 냉장창고 최대지간 50m 이상인 교량 터널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 댐 깊이 10m 이상 굴착 2. 작성내용 공사개요 및 안전보건관리계획 작업공사 종류별 유해위험방지계획 위험성평가 3. 심사 · 확인절차 4. 자체심사 · 확인제도 대상 ① 시공능력평가 200위 이내의 건설업체 3년 평균 산업재해율 이하 ② 직전 2년간 사망사고 "Zero" ③ 전년도 산업재해예방활동 실적평가 70점 이상 ④ 3명 이상의 안전보건 전담조직(안전관리자 자격자 1인 이상 포함) 취소요건 ① 동시 2명 이상 사망 ② 부실 안전..

관리감독자의 직무와 유해위험방지

관리감독자의 직무기계, 기구, 설비의 안전보건점검 및 이상유무의 확인소속 근로자의 작업복, 보호구, 방호장치 점검과 착용, 사용 지도산업재해 보고 및 응급조치작업장 정리정돈, 통로확보 확인 감독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산업보건의 지도, 조언에 대한 협조위험성평가 유해위험요인 파악 협조 및 개선조치 시행 참여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방지목재가공용 기계를 취급하는 작업목재가공용 기계를 취급하는 작업을 지휘목재가공용 기계와 방호장치 점검 & 이상 발생 시 즉시보고 및 필요한 조치작업 중 지그와 공구 등의 사용상황 감독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작업방법과 근로자 배치를 결정하고 작업 지휘재료의 결함유무, 기구, 공구 기능을 점검하고 불량품 제거작업 중 안전대, 안전모 착용상황 감시거푸집 동바리 고정, ..

화재감시자, 소방안전관리자, 임시소방시설

화재감시자 : 안전보건규칙 화재감시자 배치기준​ 같은 장소에서 상시ㆍ반복적으로 용접ㆍ용단작업을 할 때 경보용 설비ㆍ기구, 소화설비 또는 소화기가 갖추어진 경우에는 화재감시자를 지정ㆍ배치하지 않을수 있음 작업반경 11미터 이내에 가연성물질이 있는 장소 작업반경 11미터 이내의 바닥 하부에 가연성물질이 11미터 이상 떨어져 있지만 불꽃에 의해 쉽게 발화될 우려가 있는 장소 가연성물질이 금속으로 된 칸막이ㆍ벽ㆍ천장 또는 지붕의 반대쪽 면에 인접해 있어 열전도나 열복사에 의해 발화될 우려가 있는 장소 화재감시자의 업무 가연성물질 유무 확인 가스 검지 및 경보 장치의 작동 여부 화재 발생 시 사업장 내 근로자의 대피 유도 화재감시자 지급품목 : 대피용 방연장비 확성기 휴대용 조명기구 화재 대피용 마스크(한국산업표..